-
자원개발_모금 [사회복지현장 실습지도 운영]지식 공유 2020. 9. 20. 12:12
[자원개발_모금 실습지도와 운영]을 함께 만들어 주신 동료들을 소개합니다.
김국보_김해시종합사회복지관 부장
김은경_강북장애인종합복지관 지역옹호팀장
김태준_동문장애인복지관 기획나눔팀장
정인환_도봉서원종합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팀장
자원개발(모금)관련 실습을 설계할 때에는
첫째, 실습의 목적과 범위를 명확히 설계하여 사전 안내하고 기관의 다른 실습 내용과의 연관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실제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자원개발사업과 연계해야 한다..
셋째, 자원개발(모금) 전문 담당자가 슈퍼비전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실습과정은
이론교육, 기관의 이해, 자원개발사업의 이해, 현장 경험으로 구성하며, 기관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론교육은 자원개발, 모금, 목적사업, 재정구조를 중심으로 지도하며, 현장실습은 기관에서 운영하는 목적사업, 자원개발사업, 기부자 관계 예우 정책을 훈련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현장실습을 운영한 기관의 사례를 종합해 보면,
기관에서 추구하는 자원개발의 지향점과 기부자와의 관계 맺음에 대한 가치를 훈련시키거나
사회복지현장실습의 목표를 성과보다는 경험에 우선을 두고 있는 점
자원개발의 자발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훈련을 고민하고 실천하고 있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은
학교에서 학습한 사회복지 실천의 가치 및 윤리, 지식 그리고 사회복지 실천과정 및 기술을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실제로 적용하는 현장실습을 통하여 전문직의 사명감과 실천능력을 겸비한 사회복지사로 양성하고자 교육, 훈련하는 사회복지 교육의 핵심과정이다(사회복지현장실습 및 자격제도 개선방향 연구12쪽,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한국사회복지 교육협의회, 2010).
따라서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왜 자원개발이 필요한지,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역할이 충분히 훈련되도록 해야 하며,,
확신과 긍정의 경험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자긍심이 강화되도록 해야 한다.
영상강의를 들으시려면 아래 링크해 주세요!
www.humanimpact.kr/course/사람중심의-모금-자원개발-실습지도와-운영편-무료/
사람중심의 모금, 자원개발을 말하다 : 실습지도와 운영편 (무료) - 휴먼임팩트 협동조합
미래의 사회복지 현장을 책임질 후배를 기르는 '사회복지 현장실습’ 모금 사업과 관련된 실습 내용을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이론교육과 현장 실습까지 아우르는 실습 프로그��
www.humanimpact.kr
'지식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물기부 수령 및 배분 절차 (0) 2021.01.18 현물기부 가치/ 물품가액 산정 기준 (0) 2021.01.06 모금능력을 키우는 법_역지사지(易地思之)와 주객전도(主客顚倒) (0) 2020.09.03 기부자님 환영합니다[웰컴세레머니] (0) 2020.08.05 현물기부마스터-재능기부도 기부금 영수증 발행? (0) 2020.08.04